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QA.테스팅8

[ISTQB][오답노트] 2회차 1. 단위 테스팅을 하는 동안, 개발자는 종종 작성한 코드에 대한 단위 테슽트를 만들고 실행한다. 자체 테스팅을 하는 동안 개발자가 채택해야 하는 테스터적 사고방식(mindset)은? 4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코드 커버리지 코드 결함 평가 세밀한 것에 집중하는 태도 2. 테스트 프로세스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작업의 예? 2 결함 분석(디버깅) 테스트 데이터 설계 테스트 항목에 버전 할당(형상관리 활동) 사용자 스토리 작성(테스팅 활동 아님) 3. 시스템의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에 있을 수 있는 잠재적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찾기 위해 성능 테스트 수행 중. 이 테스트의 설명은? 2 통합 테스트 레벨에서의 기능 테스트 통합 테스트 레벨에서의 비기능 테스트 컴포넌트 테스트 레벨에서의 기능 테스트 컴포넌트 테스트 .. 2023. 12. 18.
[ISTQB][오답노트] 1회차 딱 반타작.. 문제만 보면 공부한 게 리셋되는 것 같다. 차라리 영어로 시험을 보는 게 덜 헷갈리려나.. 1. 테스트 케이스의 정의 테스트 컨디션에 기초해 개발한 일련의 사전조건, 입력, 행동, 예상 결과 및 사후 조건 (테스트 오라클; 테스트 중인 시스템의 실제 결과와 비교할 예상 결과를 결정하는 소스) 2. 자동차의 자동 주행속도 유지 시스템의 장애 라디오 볼륨을 키우거나 줄일 때 시스템이 설정ㅇ 속도를 유지하지 못한다. (결함; 후진 시 경고음을 울리는 불필요한 코드가 시스템에 들어갔다) 3. 테스트 베이시스와 테스트 산출물 간 추적성 유지의 가치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새로운 테스트 케이스가 요구사항 커버리지를 증가시켰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변경으로 인한 부작용의 영향을 받는 영역을 확인 테스.. 2023. 12. 18.
[ISTQB] 제 6장 테스트 지원 도구 6.1 테스트 도구 고려 사항 6.1.1 테스트 도구의 분류(Test tool Classification) >정황에 따라 하나 이상의 목적이 있다. -반복적인 작업/수동으로 진행했을 때 상당한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작업을 자동화 -> 테스트 활동의 효율성 증진 -테스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수동 테스트 활동 지원 -> 테스트 활동의 효율성 증진 -테스팅의 일관성과 결함 재현성 향상 -> 테스트 활동의 품질 향상 -수동으로 실행할 수 없는 활동을 자동화 -테스팅의 신뢰성 향상 >도구는 목적/가격/라이선스 모델/사용된 기술에 따라 분류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활동을 기반으로 한다.**실러버스 상 분류 >여러 도구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 도구를 제공하는 공급자는 통합된 하나의 스위트를 제공할 수 있다. .. 2023. 12. 12.
[ISTQB] 제 5장 테스트 관리 5.1 테스트 조직 5.1.1 독립적인 테스팅 (1) 독립적인 테스터 없음 -> 개발자 본인이 직접 테스트 (2) 개발팀이나 프로젝트팀에 속한 독립적인 개발자/테스터 (3) 조직 내 독립적 테스트팀이나 그룹이 프로젝트 관리자/상위 관리자에게 직접 보고 (4) 비즈니스 조직/사용자 커뮤니티 소속/특정 테스트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독립적인 테스터 (5) 현장 또는 현장 외에서 일하는 조직 외부의 독립적인 테스터 >어떻게 구현할지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모델(https://deepdeep-blue.tistory.com/4)에 따라 다르다. >>잠재적 이점단점>테스트 전략 : 테스트 프로세스를 종합해 개괄적으로 설명 >>테스트 접근법 : 테스트 기법, 테스트 레벨, 테스트 유형을 선택하는 출발점 5.2.3 .. 2023.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