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세 영향, 엔터·화장품주 하락의 배경과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전례 없는 104%의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취하며, 중국 관련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사태는 특히 엔터테인먼트 및 화장품 업종에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과 전망을 분석합니다.
1.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1.1 관세 부과 경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단계를 나눠 지속적으로 관세를 부과해왔습니다. 2월과 3월 각각 10%의 관세를 부과한 이후, 상호 관세로 34%를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지난 4월 8일, 50%포인트를 더 올리면서 104%라는 높은 관세율에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1.2 중국의 대응
중국 상무부는 이러한 미국의 관세 부과를 "전혀 근거가 없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 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중국은 이에 대해 강경 대응할 것을 밝히며, 무역 전쟁의 심화를 예고했습니다.
2. 엔터테인먼트와 화장품주에 미친 영향
2.1 주가 하락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분야 중 하나가 엔터테인먼트 업종입니다. 하이브는 6.72% 하락하며, 디어유와 JYP Ent. 등의 주가도 크게 떨어졌습니다. 방송과 엔터테인먼트 업종 전체가 4.78% 하락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했습니다.
2.2 화장품주의 고난
화장품주 또한 큰 폭의 하락을 겪었습니다. 코스맥스는 6.72% 하락했으며, 삐아는 9.52%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하락세는 화장품 업종 전반에 걸쳐 확산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냈습니다.
3. 미래 전망과 대응 전략
3.1 한한령 해제 기대의 소멸
그 동안 엔터테인먼트와 화장품주는 중국의 소비 활성화와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의해 지지받아 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부과는 이러한 기대감을 일시에 무너뜨리며 관련주의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3.2 전문가들의 전망
대신증권의 이경민 FICC리서치 부장은, 이번 사태가 단기적으로는 국내 관련 업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과 미국 간의 무역 분쟁이 조기에 해결될 경우 다시 반등의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제시했습니다.
결론
엔터테인먼트와 화장품주는 이번 미국의 관세 결정으로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양국 간의 무역 분쟁 해결 여부에 따라 회복의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판단과 장기적인 전망을 고려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